
다가오는 8월 31일 목요일 밤, 일 년 중 가장 크고 둥근 보름달이 하늘을 수놓으며 전 세계 사람들을 사로잡는 숨막히는 천체 장관을 연출할 예정입니다.
Table of Contents

인상적인 보름달의 디스플레이
28일 한국천문우주과학원에 따르면 31일 오후 10시 36분, 정확히 올해 가장 크고 찬란한 보름달이 밤하늘을 수놓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지난 2월 6일에 관측된 가장 작은 보름달과 비교하면 무려 14%나 더 큰 달의 경이로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크기 뒤에 숨겨진 과학
지구에서 볼 때 달의 겉보기 크기가 달라지는 것은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달과 지구 사이의 근접 거리에 따라 달의 겉보기 크기가 결정되며, 달이 가까우면 더 크게, 멀어지면 더 작게 보입니다.
보름달 중에서도 8월 31일에 뜨는 보름달은 다른 보름달에 비해 지구와의 근접도가 높아서 더욱 두드러집니다.
달의 근접성
31일에 뜨는 달은 지구로부터 약 357,341킬로미터의 거리를 유지하며, 이는 지구와 달의 평균 거리인 약 384,400킬로미터보다 약 27,059킬로미터 더 가까운 거리입니다.
반면, 2월 6일의 보름달은 약 405,829킬로미터의 거리에 나타나 평균 거리보다 21,000킬로미터 이상 더 멀었습니다.
천체의 춤
달의 타원 궤도는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이 다가왔다가 가장 멀리 멀어지는 공전주기로 알려진 주기적 현상을 일으킵니다.
이 주기는 한 개기 후 다음 개기까지 약 27.55일이 걸립니다.
두 개의 보름달이 연속적으로 뜨는 기간은 약 29.53일이며, 이를 개기월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광경은 대략 14개월에 한 번씩 발생합니다.
인식할 수 있나요?
이 기간 동안 달과 지구 사이의 물리적 거리는 조금씩 달라지지만, 대기 조건과 주관적인 요인이 달의 크기를 인식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육안으로는 이러한 미묘한 변화를 쉽게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습니다.
달 현상 관찰하기
8월 31일 오후 7시 29분에 서울 상공에 달이 뜨고 다음날 오전 7시 1분에는 달이 지게 됩니다.
지난 2일에 보름달을 본 데 이어, 8월 31일 보름달은 이달의 두 번째 보름달입니다.
각 지역의 정확한 달 뜨는 시각과 달 지는 시각은 한국천문연구 공식 홈페이지의 ‘생활천문 – 월별 해/달 뜨는 시각과 지는 시각’을 참고해보세요.